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전체 글

Web Performance Tooling 요약 Web Performance Tooling의 요약입니다. 이 세션에서는 두 명이 동시에 연단에 등록하여 마치 만담을 하듯이 연기하며 성능 개선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. 종종 이런 형식을 빌려 세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연기를 잘 하지는 못하지만 평범한 형식이 아니라서 개인적으로는 좋아하는 형태입니다. - 성능은 일을 줄이는 기법이고 일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.- 성능 개선을 진행하는 기본적인 방법 - 사용자: 사용자가 만족하게 만드는 것이 성능 개선의 목적 - 측정: 프로파일러를 사용. 살펴봐야 할 시간의 종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. - 비용의 해석: 일어나고 있는 일을 이해하는 것 - 병목 지점의 파악: 문제가 있는 지점을 파악 - 개선 시도 - 재측정: 변화가 일으킨 결과를 확인.. 더보기
High performance web user interfaces 요약 Google I/O 2016에서 웹쪽 주제로는 첫 번째 세션이었던 High performance web user interfaces 를 요악합니다. - Progressive Web Apps - 여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HTTPS가 필요 - push messaging, offline 혹은 좋지 않은 접속 상태 (by service worker)- 사용자는 native app처럼 생긴 앱은 native app 처럼 동작하기를 기대한다. - 동작(behaves)은 두 가지로 나뉜다. - performance, interaction- Performance - RAIL - 퍼포먼스를 고려할 때 사용자를 중심에 두고 생각하는 모델 - Response (0.1 sec), Animation (16ms), Idle.. 더보기
DevTools in 2016: Accelerate your workflow 요약 DevTools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에 대한 세션입니다. - 새로운 기능은 chrome canary 버전에서 chrome://flags 에서 Enable Developer Tools experiments를 활성화해야 사용할 수 있음- Authoring - Device mode - Mobile first를 먼저 하길 권장. 이에 맞춰 개선했음 - responsive design을 쉽게 확인하도록 다양한 사이즈를 쉽게 선택해서 볼 수 있음 - 디바이스 회전 아이콘을 클릭하면 키보드 노출 화면도 확인 가능 - settings - show the device frame 을 선택하면 기기의 프레임을 보여줌. - 스크린샷 촬영 가능 - 기기를 추가할 수 있고 - device pixel ratio 지정 가능 - ne.. 더보기
Great libraries and tools for great Progressive Web Apps 요약 오늘 본 비디오는 Great libraries and tools for great Progressive Web Apps 입니다. 솔직히 제목에 혹~! 했습니다만 막상 비디오를 다 보고 나니 동영상에 나온 것들을 적용하려면 고민을 많이 해야 할 것 같더군요. 동영상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. Progressive Web Apps 은 웹에서의 최신 유행어다. - PWA는 최신 기술을 많이 사용하고 - PWA를 만들면 사용자에게 유용하고, 사용성이 높고, 즐거운 경험을 줄 수 있다. PWA를 만드려면 만드는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. - 예전 웹 - 예전에는 고수준의 기능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었다. - 이미지를 보여주고 싶으면 이미지 태그를 사용하고, 테이블을 보여주고 싶으면 테이블 태그를 사용했다. - 확.. 더보기
V8, modern JavaScript, and beyond 요약 Google I/O 2016 에서 웹을 주제로 하는 세션 중에 동영상으로 공개된 것은 27편입니다. 이게 전체인지 일부인지는 알 수 없지만 작년에 비하면 상당히 많아졌습니다. 그 중 V8, modern JavaScript, and beyond 라는 세션의 동영상을 간단히 요약해봅니다. V8의 미션 - Speed up real-world performance for modern JavaScript, and enable developers to build a faster future web. - 크롬에서 현재 사용 중인 자바스크립트를 빠르게 동작 시키는 것 - 개발자들이 더 빠른 앱을 만들도록 지원하는 것 - 올바른 도구, 언어의 새로운 기능, 다양한 리소스 등 Real-world performance - .. 더보기
카카오스토리팀의 코드리뷰에 대한 질문과 답 얼마 전 카카오 개발자 블로그에 카카오스토리팀의 코드 리뷰 도입 사례라는 글이 올라왔습니다. 현재 일하고 있는 곳에서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진행한 코드 리뷰의 경험을 잘 설명한 글입니다. 제가 쓴 글은 아니지만 코드 리뷰에 참여하고 있는 한 명으로서 이 글을 잘 읽었다는 피드백을 받을 때마다 솔직히 기분은 좋더군요. 여기서는 코드 리뷰 경험에 대한 글을 공개하기 전, 후에 코드 리뷰에 대해 질문받은 내용과 답변에 대해 기억나는대로 정리해보려 합니다. Q. 코드 리뷰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? 1. 리뷰도 개발의 한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개발문화입니다. 많은 경우 리뷰를 개발 과정의 일부가 아닌 개발 외적의 일로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, 리뷰 자체도 개발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일정과 같이 개발에 .. 더보기
Chrome Dev Summit 2015 - Developing for Billions 요약 Chrome Dev Summit 2015의 Developing for Billions 를 요약해봅니다. ==== 발표자: Tal Oppenheimer, Product Manager for Chrome -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웹 경험 만들기- 2014년 말 - 32억명의 인터넷 유저 - 미국과 인도가 비슷한 규모 - 인도의 경우 2014년에 3천만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 - 인도와 중국의 사용자는 아직 온라인이 아닌 사람이 많음 - 인도만 10억 이상- 도전꺼리 - 처음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는 경험이 다르다. - 남편의 전화기를 빌려 처음으로 인터넷을 경험. - 인도에 처음 인터넷을 쓰는 사람들이 쓰는 기기는... - Samsung Galaxy J1 - 2015 발매 - 4.3인치, 5.. 더보기
Chrome Dev Summit 2015 - Keynote 요약 지난 17, 18 양일간 마운틴뷰에서는 Chrome Dev Summit 2015가 열렸습니다. 유튜브에 행사 양일의 라이브 동영상(17일, 18일)이 공개되어 있고 각 세션별 동영상도 공개되어 있습니다. 관심있으신 분들은 동영상을 보셔도 좋겠습니다. 여기서는 첫날의 Keynote를 간단히 요약해봅니다. ==== 발표자: Darin Fisher, VP of Chrome - Android chrome은 3년 됐음- 롤리팝 이후의 사용자들은 크롬, 웹뷰가 자동 업데이트됨- 작년 4억명이 크롬 모바일 사용- 올해 8억명이 크롬 모바일 사용- 플랫폼으로써 웹의 가치 - low friction: 설치 없이 클릭만으로 개발자가 만든 결과물에 접근할 수 있음. - 6월 기준 - 매월 25개의 앱을 사용 - 크롬 사용자.. 더보기

반응형